용현동 (인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용현동은 인천광역시 미추홀구에 위치한 지역으로, 지명은 여러 차례 변경을 거쳐 1946년에 현재의 이름으로 정착되었다. 일제강점기에는 일지출정으로 불렸으며, '토지금고'라는 명칭은 한국토지주택공사의 전신인 토지금고가 낙섬 염전 부지를 택지로 개발하면서 토지채권을 발행한 역사에서 유래되었다. 2020년에는 인천 아동학대 라면형제 화재사건이 발생하여 사회적 관심을 받았다. 주요 시설로는 경인고속도로의 기점이었던 인천대로와 수인선 인하대역이 있으며, 인하대학교가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천 미추홀구의 행정 구역 - 주안동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주안동은 만월산 서쪽 붉은 언덕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과거 넓은 지역을 관할했으며, 일제강점기 명칭 변경 후 해방되어 현재는 주안역을 중심으로 도시 개발과 재개발이 활발히 진행 중인 지역이다. - 인천 미추홀구의 행정 구역 - 도화동 (인천)
인천광역시 미추홀구에 위치한 도화동은 과거 다소면의 여러 동이 통합되어 형성되었고 일제강점기에는 앵정으로 불렸으며, 경인고속도로와 경인선 철도가 지나가는 교통 요충지이자 인천대학교 제물포캠퍼스와 청운대학교 인천캠퍼스가 위치한 지역이다. - 인천 미추홀구의 법정동 - 주안동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주안동은 만월산 서쪽 붉은 언덕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과거 넓은 지역을 관할했으며, 일제강점기 명칭 변경 후 해방되어 현재는 주안역을 중심으로 도시 개발과 재개발이 활발히 진행 중인 지역이다. - 인천 미추홀구의 법정동 - 도화동 (인천)
인천광역시 미추홀구에 위치한 도화동은 과거 다소면의 여러 동이 통합되어 형성되었고 일제강점기에는 앵정으로 불렸으며, 경인고속도로와 경인선 철도가 지나가는 교통 요충지이자 인천대학교 제물포캠퍼스와 청운대학교 인천캠퍼스가 위치한 지역이다. - 1957년 폐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문화선전성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문화선전성은 1948년 북한 내각에 설치되어 문화예술 정책을 총괄하다 1957년 폐지되었으며, 허정숙이 초대 문화선전상을 맡아 로동신문, 민주조선, 국립민족예술극장 등을 통해 문화예술을 체제 선전과 인민 교화의 도구로 활용했다. - 1957년 폐지 - 제501군사정보여단
제501군사정보여단은 한국 전쟁 중 창설된 미 육군 군사정보 여단으로, 정보 수집 및 분석 임무를 수행하며 공로부대표창과 대한민국 대통령 부대표창을 수여받았고, 현재 험프리스 기지에 사령부를 두고 여러 예하 부대를 지휘하며 524 군사정보대대는 아프가니스탄 파병을 통해 작전 영구 자유 작전을 지원했다.
용현동 (인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용현1·4동 기본 정보 | |
한자 표기 | 龍現1·4洞 |
영어 표기 | Yonghyeon 1(il)·4(sa)-dong |
광역시도 | 인천광역시 |
시군구 | 미추홀구 |
면적 | 1.30 |
세대 | 9,373 |
세대 조사 | 2012.12.31. |
인구 | 17,482 |
인구 조사 | 2022년 2월 |
법정동 | 용현동 |
통 | 41 |
반 | 184 |
동주민센터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인주대로 198 |
홈페이지 | 용현1·4동 행정복지센터 |
용현2동 기본 정보 | |
![]() | |
한자 표기 | 龍現2洞 |
영어 표기 | Yonghyeon 2(i)-dong |
광역시도 | 인천광역시 |
시군구 | 미추홀구 |
면적 | 0.55 |
세대 | 6,663 |
세대 조사 | 2012.12.31. |
인구 | 17,899 |
인구 조사 | 2022년 2월 |
법정동 | 용현동 |
통 | 28 |
반 | 137 |
동주민센터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낙섬중로 101 |
홈페이지 | 용현2동 행정복지센터 |
용현3동 기본 정보 | |
한자 표기 | 龍現3洞 |
영어 표기 | Yonghyeon 3(sam)-dong |
광역시도 | 인천광역시 |
시군구 | 미추홀구 |
면적 | 0.48 |
세대 | 4,400 |
세대 조사 | 2012.12.31. |
인구 | 7,644 |
인구 조사 | 2022년 2월 |
법정동 | 용현동 |
통 | 18 |
반 | 96 |
동주민센터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인주대로 133 |
홈페이지 | 용현3동 행정복지센터 |
용현5동 기본 정보 | |
![]() | |
한자 표기 | 龍現5洞 |
영어 표기 | Yonghyeon 5(o)-dong |
광역시도 | 인천광역시 |
시군구 | 미추홀구 |
면적 | 1.89 |
세대 | 13,842 |
세대 조사 | 2012.12.31. |
인구 | 47,500 |
인구 조사 | 2022년 2월 |
법정동 | 용현동 |
통 | 48 |
반 | 216 |
동주민센터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토금북로 60 |
홈페이지 | 용현5동 행정복지센터 |
2. 지명 유래
용현동은 1903년 8월에 다소면 독정리·비랑리가 되었고, 1906년 5월 다소면 독정리·비룡리로 개칭되었으며, 1914년 3월 1일 부천군 다주면 용정리로 개편되었다가 1936년에 인천부로 다시 편입되었다.[1] 1937년 1월 15일 인천부 일지출정으로 이름이 바뀌었고, 1946년 1월 1일 용현동으로 개칭하였다.[1] 독정이는 구한말에 글을 가르치던 서당인 정자가 있어서 유래되었고, 비랑이란 파도가 나른다는 뜻이다.[1] 용정이는 비룡리의 "용"과 독정리의 "정"자를 따서 지은 것이다.[1] 일지출정은 일본에서 많이 쓰여지는 이름으로, 해뜨는 지역임을 뜻한다.[1]
용현2동과 5동 일대는 '토지금고'로 불리는데, 이는 한국토지주택공사의 전신인 토지금고가 낙섬 염전 부지를 인수하여 택지를 조성하고 토지채권을 발행한 역사에서 유래한다.[2]
3. 역사
3. 1. 일제강점기
1937년 1월 15일 인천부 일지출정으로 이름이 바뀌었는데, 이는 일본에서 많이 쓰이는 이름으로, 해뜨는 지역임을 뜻한다.[1] 1946년 1월 1일 용현동으로 개칭하였다.[1]
3. 2. 해방 이후
1903년 8월에 다소면 독정리·비랑리가 되었고, 1906년 5월 다소면 독정리·비룡리로 개칭되었으며, 1914년 3월 1일 부천군 다주면 용정리으로 개편되었다가 1936년에 인천부로 재편입되었다.[1] 1937년 1월 15일 인천부 일지출정으로 이름이 바뀌었고, 1946년 1월 1일 용현동으로 개칭하였다.[1] 독정이란 구한말에 글을 가르치던 서당인 정자가 있어서이고, 비랑이란 파도가 나른다는 뜻이다.[1] 용정이란 비룡리의 "용"과 독정리의 "정"자를 따서 지은 것이다.[1] 일지출정은 일본에서 많이 쓰여지는 이름으로, 해뜨는 지역임을 뜻한다.[1]
용현2동과 5동 일대는 '토지금고'로 불린다.[2] 낙섬에 있던 염전이 1966년 폐염된 이후 대우실업에서 부지를 인수하였고, 1976년 약 148,000m2의 땅을 지금의 한국토지주택공사인 토지금고에 10억 원을 받고 팔았다.[2] 토지금고는 1977년 6월 부지 중 46,280m2를 266필지로 분할 매각하여 우리나라 최초의 토지채권이었던 6억 9,200만원 규모의 1차 토지상환채권을 발행하였고, 채권으로 확보한 자금으로 택지를 조성하였다.[2] 같은 해 10월과 이듬해 3월에 각각 11억원 규모의 2차 채권과 13억원 규모의 3차 채권을 발행하였으며, 1978년 6월 1차 채권의 상환 기간이 끝나 용현동 610, 627 일대에 모범 주택단지를 분양하였다.[2] 이러한 유래로 지금의 지명이 남아 있는 것이다.[2]
3. 3. 토지금고와 토지 개발
4. 주거
SK건설의 인천SK스카이뷰와 SM경남기업의 인천 용현 경남아너스빌이 있다. 인천 용현 경남아너스빌은 2023년 3월 입주 예정이다.
4. 1. 아파트
SK건설의 인천SK스카이뷰와 SM경남기업의 인천 용현 경남아너스빌이 있다. 인천 용현 경남아너스빌은 2023년 3월 입주 예정이다.5. 사건
5. 1. 인천 아동학대 라면형제 화재사건
2020년 9월, 용현동에서는 초등학생 형제가 스스로 라면을 끓여 먹으려다 발생한 인천 아동학대 라면형제 화재사건이 발생했다. 이 사건은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수업 상황에서 아동 방임 문제의 심각성을 드러냈으며, 사회적으로 큰 충격을 주었다. 이 사건을 계기로 아동 보호 시스템의 개선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정부와 지자체는 아동 학대 예방 및 피해 아동 지원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게 되었다.6. 교통
6. 1. 도로
과거 경인고속도로의 기점이었던 인천대로가 용현동을 지난다.6. 2. 철도
수인선 인하대역이 용현동에 있다. 역명 결정 과정에서 인하대학교와 지역 주민 간의 갈등이 있었다.
7. 교육
인하대학교는 1954년 이승만 대통령의 지시로 설립된 학교이다. 1952년 하와이 교포들이 일제 강점기 시절 미국으로 강제 이주를 당한 설움을 잊지 않고, 고국에 대한 그리움을 담아 인천에 대학교를 설립하기로 하면서 기금을 모금하기 시작했다. 1953년 이승만 대통령은 이 기금과 국고 보조금으로 학교를 세우기로 하고, 교명을 인천의 '인'과 하와이의 '하'를 따서 '인하'로 짓도록 지시했다.
참조
[1]
웹사이트
남구학산문화원
http://www.haksancul[...]
남구동명유래
2015-10-11
[2]
뉴스
용현동 소금밭은 왜 ‘토지금고’로 불릴까
http://www.kihoilbo.[...]
기호일보
2015-05-26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단독] 앞바퀴 없는 차로 가드레일 '쾅'···잡고보니 필로폰 양성 | JTBC 뉴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